Figma로 보는 디자인 시스템 실전 가이드

디자인

Figma로 보는 디자인 시스템 실전 가이드

ilyylm 2025. 5. 12. 14:51

[사진/토스]

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한 스타일 가이드가 아닙니다. UI 컴포넌트, 타이포그래피, 컬러, 그리드, 모션, 토큰, 코드까지 포함한 디지털 제품의 일관성과 확장성을 보장하는 운영 체계입니다. 대기업일수록 서비스 규모와 협업 인원이 많아지기 때문에, 디자인 시스템 없이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디자인 시스템의 핵심 요소

  1. Foundation (기초 체계)
    • 색상 팔레트 (Primary, Secondary, Semantic 등)
    • 타이포그래피(폰트 계층 구조 및 크기/자간 설정)
    • 그리드 및 레이아웃 시스템
    • Spacing & Sizing (8pt 규칙 등)
  2. Components (컴포넌트 세트)
    • 버튼, 인풋, 토글, 모달, 카드 등 UI 요소
    • 각 컴포넌트는 상태별(VARIANTS: default, hover, disabled 등)로 설계
  3. Patterns (패턴과 플로우)
    • 로그인, 결제, 온보딩, 에러 처리 등의 반복되는 사용자 흐름
  4. Documentation (문서화)
    • 컴포넌트 사용 가이드, 버전 관리, 코드 스니펫 공유

🛠️ Figma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실전 단계별 가이드

STEP 1. Foundation부터 세팅

  • Figma의 "Styles" 기능으로 컬러, 텍스트 스타일, 효과(그림자 등)를 미리 등록
  • 토큰 네이밍 규칙: color/primary/blue, font/heading/xxl, spacing/04 등 체계화 필요

STEP 2. Components 라이브러리 구축

  • 디자인 라이브러리 파일을 별도로 생성하여 컴포넌트를 중앙 관리
  • Auto Layout + Variants 활용 → 유지 보수 편의성과 스케일 확장성 확보
  • ‘Atomic Design’ 원칙 활용: Atom(버튼) → Molecule(폼) → Organism(카드 리스트)로 구성

STEP 3. 실제 제품 화면에서 활용 및 유지

  • 팀 프로젝트 Figma 파일에서 Components를 ‘Assets’로 호출해 사용
  • 사용 중 개선 포인트는 라이브러리 원본에서 업데이트 → 전 파일에 자동 반영

STEP 4. 문서화와 팀 교육

  • FigJam 또는 Notion에 시스템 구조 및 사용법 문서화
  • 신규 입사자용 온보딩 매뉴얼 제공

🏢 실제 대기업 사례 요약

카카오 디자인 시스템 – BAKO

  • 카카오 서비스 전반에 적용되는 공통 디자인 자산
  • 오픈소스로 일부 컴포넌트 공개되어 있으며, 내부 팀별 확장 가능

네이버 D2 디자인 시스템

  • 사내 플랫폼 개발팀과 디자이너가 공동 운영
  • 컴포넌트 단위 버전 관리 + 코드 연동 자동화 구축

배달의민족 – Baedal Tone & Guide

  • 자사만의 톤앤매너, 언어 스타일 가이드를 시각 디자인과 결합해 제공
  • UX Writing까지 디자인 시스템의 일부로 포함

🔍 팀 규모별 전략 요약

팀 규모전략도구

1~3인 (소규모) 디자인 규칙은 간소화하되 스타일과 컴포넌트 최소화부터 시작 Figma Local Styles, Shared Library
4~10인 (중형) 컴포넌트, 패턴 도입 + 문서화 시작 Figma + Notion/Zeroheight
10인 이상 (대형) 디자인-개발 통합 시스템, 코드 연동 필요 Figma + Tokens Studio + Storybook

✅ 마무리 조언

디자인 시스템은 단지 정리된 파일이 아닌 ‘제품의 일관성과 미래 확장을 위한 전략’입니다. Figma는 그 시스템의 기반이 되며, 작게 시작하되 지속적으로 개선·문서화하는 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단순한 스타일 정리를 넘어서, 팀 전체가 ‘같은 언어로 일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만들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