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함께 쓰는 ‘공통 언어’ 만들기
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한 스타일 가이드가 아닙니다. 디자이너, 개발자, 기획자 모두가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만드는 ‘UX의 인프라’입니다. Figma로 만든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부터, 실제 제품에 연동되는 코드 토큰까지. 2025년 기준으로 실무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시스템 구축 방식과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1. 디자인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1.1 단순 UI 키트와의 차이
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히 Figma로 만든 ‘버튼 묶음’이 아닙니다. 비주얼, 코드, 사용 원칙, 문서, 커뮤니케이션까지 포함된 ‘전체 환경’입니다.
1.2 왜 지금 모든 조직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가
운영 서비스가 확장되면 화면이 수십~수백 개로 늘어납니다. 이때 스타일이나 버튼, 컴포넌트가 각 팀마다 다르면 유지보수가 불가능해집니다.
디자인 시스템은 비용을 줄이고, 일관성을 확보하며, 제품 퀄리티를 지키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2. 핵심 구성 요소 5가지
구성 요소 | 내용 | 적용 예시 |
---|---|---|
스타일 가이드 | 폰트, 색상, 간격 기준 | #333 텍스트 / 16px 본문 |
컴포넌트 | 버튼, 카드, 모달 등 UI 요소 | CTA 버튼, Tab 메뉴 |
패턴 | 동선 구조, 반복 인터랙션 | 로그인 흐름, 필터 기능 |
문서화 | 사용 가이드, 예외 규칙 | 버튼 사용 시 색상 조건 명시 |
디자인 토큰 | 변수 형태의 속성값 | primary-color = #005FFF |
✔ 단순 정리만이 아닌, 디자인 → 코드까지 연결되는 구조화가 핵심입니다.
3. 토큰 기반 설계란? (Design Tokens)
디자인 토큰(Design Tokens)은 UI의 스타일 속성을 ‘변수’처럼 저장하는 시스템입니다.
- 예: color-primary = #005FFF, border-radius = 8px
- 토큰을 수정하면 모든 화면 요소에 즉시 반영 가능
- 디자인, 개발, QA 간 스타일 일관성 유지 가능
토큰 종류 | 예시 |
---|---|
Color | text-primary = #111, bg-secondary = #f5f5f5 |
Spacing | spacing-small = 8px, spacing-large = 32px |
Radius | radius-default = 4px |
4. 실무 구축 단계: 4단계 워크플로우
- 1단계: 현재 UI 분석 및 정리 공통 요소 파악, 색상/폰트/컴포넌트 패턴 수집
- 2단계: 토큰과 컴포넌트 설계 Figma 등에서 스타일 텍스트, 그리드 구성 설정
- 3단계: 문서화 및 개발 협업 Notion, Zeroheight, Storybook 등으로 문서화
- 4단계: 지속 관리 체계 수립 버전 관리, 변경 커뮤니케이션, 컴포넌트 QA 등
✔ 디자인 시스템은 한 번 만들고 끝나는 게 아닌, ‘운영되는 제품’입니다.
5. 디자인 시스템 구축 툴 비교
툴 | 주요 기능 | 특징 |
---|---|---|
Figma |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변수 설정 | 디자이너 중심 |
Zeroheight | 디자인 가이드 문서화 | PM/개발자 공유용 |
Storybook | UI 컴포넌트 코드화 | 프론트엔드 중심 |
▶ Zeroheight 바로가기 ▶ Storybook 공식 사이트
6. 실제 사례로 보는 UI/UX 적용
카카오 디자인 시스템 (Kakao Design System): 색상 토큰 기반 자동 테마 적용
토스(Toss) : 모든 화면은 디자인 시스템 기준으로 컴포넌트화
Uber Base Web : 오픈소스 기반으로 Storybook 연동 운영
이러한 디자인 시스템은 브랜드 일관성, UI/UX 최적화, 개발 속도 향상에 기여합니다.
7. 마무리 요약
- 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한 ‘컴포넌트 모음’이 아닌 디자인과 개발의 공동 언어입니다.
- 스타일 가이드, 토큰, 문서화, 운영 체계까지 포함해 전체 협업 환경을 설계해야 합니다.
- 토큰 기반 설계는 디자인 변경을 전사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강력한 구조입니다.
지금은 ‘버튼이 예쁜가’보다 ‘디자인 시스템이 존재하는가’가 조직의 UX 수준을 나누는 기준입니다. 이제는 하나씩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디자인시스템구축 #UX디자인토큰 #스타일가이드작성법 #Figma컴포넌트관리 #UI일관성 #디자인운영전략
디자인시스템툴비교, Zeroheight사용법, Storybook연동, 디자인토큰정의, UX컴포넌트문서화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QA : 픽셀 퍼펙트부터 협업 프로세스까지 총정리 (0) | 2025.07.03 |
---|---|
디자인 토큰으로 전사 UI 관리하기: 브랜드 일관성과 작업속도 모두 잡기 (0) | 2025.07.03 |
UX 평가 방법 총정리: 휴리스틱 vs SUS vs NPS 어떻게 다를까? (0) | 2025.07.03 |
UI 디자인에서 심리학이 중요한 이유: 인지·기억·주의 이론 실전 적용 (0) | 2025.07.03 |
전환율을 바꾸는 금융 앱 온보딩 UX 설계법 (GA4 데이터 기반 실전 전략)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