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디자인 시스템이 있는 조직은 어떻게 QA할까? (실무 프로세스 기반)

ilyylm 2025. 7. 4. 05:47

Figma + Storybook + 토큰 구조까지 연동된 실무 QA 방식이 궁금하다면

디자인 시스템이 구축된 조직은 QA 방식도 일반 조직과 전혀 다릅니다. 픽셀을 하나하나 비교하는 수동 검수 방식이 아닌, 디자인 토큰과 컴포넌트 기준에 따라 검수 자동화, 기준화, 협업화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인 시스템이 있는 조직의 QA 프로세스가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도구를 연동하고 운영하는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1. 디자인 시스템 기반 QA란?

1.1 일반 QA와의 차이점

디자인 시스템 기반 QA는 화면 전체를 ‘눈으로 비교’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컴포넌트 단위로 분해된 UI 요소를 기준값(토큰, 간격, 색상 등)에 따라 검수합니다.

즉, “시안과 다르다”가 아니라 “컴포넌트 기준에서 벗어났다”는 근거 중심 QA입니다.

 

1.2 구성 요소 중심의 검수 방식

버튼, 배너, 모달 등 재사용되는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디자인 시스템에 정의된 속성과 UI를 비교해 일관성 있는 기준으로 검수합니다.


2. QA 기준은 어디에서 정의되는가?

기준 정의 위치 설명 적용 예시
디자인 토큰 색상, 폰트, 간격, 라운드 등 변수 기반 값 primary-color = #005FFF
컴포넌트 정의 Figma에서 정의한 UI 단위 Button/CTA/Large
Storybook 기준 개발자 측 UI 라이브러리 구현 값 <Button variant="primary" />

 

▶ Storybook 공식 사이트

 

Storybook: Frontend workshop for UI development

Storybook is a frontend workshop for building UI components and pages in isolation. Thousands of teams use it for UI development, testing, and documentation. It's open source and free.

storybook.js.org

 

이 기준은 QA 과정의 체크리스트가 아닌 ‘검수의 법칙’처럼 사용됩니다.


3. 실무 QA 프로세스 단계별 구성

  1. Step 1: QA 체크 기준 수립 디자인 시스템의 컴포넌트 및 토큰 기준 문서화
  2. Step 2: 컴포넌트 레벨 검수 디자인-개발 간 일치 여부 Figma + Storybook 기반 확인
  3. Step 3: 페이지 QA 기준 컴포넌트를 조합한 화면 전체 검수
  4. Step 4: 협업 이슈 정리 Notion, Jira 등으로 수정 요청 기록화

✔ QA는 '화면 검수'가 아닌 '구성 검수'입니다. 개발 코드 변경 시도 없이 컴포넌트 재활용만으로도 수정이 가능해야 이상적입니다.


4. 연동 도구 예시: Figma → Storybook → Dev 환경

도구 역할 특징
Figma 디자인 기준 정의 컴포넌트, 변수 사용
Tokens Studio 디자인 토큰 관리 GitHub 연동 가능
Storybook 컴포넌트 단위 UI 확인 개발자가 직접 테스트 가능
Chromatic 시각적 변경 자동 검출 픽셀 변화 감지 가능

 

▶ Chromatic: 시각적 QA 자동화 플랫폼

 

Visual testing & review for web user interfaces

Chromatic scans every possible UI state across browsers to catch visual and functional bugs before they reach users. Assign reviewers and resolve discussions to streamline team sign-off.

www.chromatic.com

 

✔ 이 구조는 QA뿐만 아니라 디자인 일관성, 접근성 품질, 생산성까지 향상시킵니다.


5. 자주 사용하는 QA 문서 예시

문서명 내용 작성자
컴포넌트 QA 체크시트 버튼, 입력폼 등 기준 정리 디자이너, 프론트 개발자
디자인 QA 노션 페이지 스크린샷, 이슈 정리 PO, QA 엔지니어
토큰 정의 문서 색상, 폰트, 간격 변수 목록 디자인Ops 팀

 

✔ 문서화는 팀 간 커뮤니케이션을 줄이고, QA 속도를 2배 이상 높입니다.


6. 마무리 요약

  • 디자인 시스템이 있는 조직은 QA도 ‘시스템화’되어 있습니다.
  • 픽셀 비교가 아닌, 컴포넌트 + 토큰 + 기준값 기반 검수가 중심입니다.
  • Storybook, Chromatic, Tokens Studio 등 툴을 연계하면 QA 자동화 수준까지 가능합니다.

이제는 단순히 "다르게 보여요"가 아니라 "디자인 시스템 기준에서 벗어났어요"라고 말할 수 있는 조직이 애드센스도 승인 받고, 협업도 잘됩니다.


#디자인시스템QA #컴포넌트기반검수 #FigmaQA전략 #Storybook자동화 #디자인토큰기준 #Chromatic비교툴

UX검수프로세스, 디자인QA도구, 디자인시스템기반운영, 개발연동QA, UI일관성관리, QA템플릿